“공모주”는 상장 전 기업이 일반 투자자에게 일정 가격으로 주식을 제공하는 IPO(Initial Public Offering) 방식입니다.
개인에게는 비교적 낮은 진입 장벽과 상장 후 빠른 시세 차익 기회가 있어 공모주 청약방법은 최근 주식 투자자들 사이에서 가장 핫한 관심사 중 하나입니다. 특히 2025년에도 공모주 열기는 여전하며,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공모주 청약방법은 누구나 익혀 둘 가치가 큽니다.
본 포스팅에서는 공모주 청약방법의 핵심 절차(앱 선택, 증거금 준비, 신청 방식, 유의사항 등)를 쉽고 구체적으로 설명드립니다. 또한 공모주 앱 추천 및 청약증거금과 최소증거금 계산 방법까지 최신 정보로 정리하였습니다.
공모주 앱 추천 : 공모주 알리미, 공모주 일정 관리
공모주 청약을 준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일정 관리와 빠른 정보확인 입니다.
예전에는 증권사 홈페이지나 뉴스 기사에서 청약일정을 일일이 찾아야 했지만, 이제는 공모주 전용 앱을 통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공모주 투자를 계획하신다면, 반드시 전용 일정관리앱 + 증권사 MTS앱을 함께 준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✅ 공모주 일정 관리 앱
1. 공모러 https://gongmorer.kr/
공모러
공모주 투자관리
gongmorer.kr
- 청약일, 환불일, 상장일을 한눈에 보여줍니다.
- 경쟁률 실시간 조회, 투자일지 기록 기능 지원
-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공모주 앱 중 하나
2. 일육공 160 https://160ipo.com/
연 5% 이자를 6개월간!!
우량 공모주 선별해서 자동으로 청약해주는 건 덤!!
160ipo.com
- ‘공모주 매력 지수’를 제공해 어떤 종목이 유망한지 참고 가능
- 일부 증권사와 연동해 자동청약 기능 지원
3. 피너츠 공모주 https://www.finuts.co.kr/html/common/introduce.php
피너츠 공모주 - 공모주일정에서 실시간경쟁률까지 공모주의 모든 것
공모주일정, 공모주캘린더, 공모주청약일정알림, 실시간경쟁률, 배정계산기, 예금금리비교, 적금금리비교 정보 제공
www.finuts.co.kr
- 캘린더, 경쟁률, 재무제표까지 종합 제공
- 상장 후 주가 흐름까지 기록 가능
✅ 증권사 MTS 앱
공모주는 결국 주관사 증권사 앱으로 청약해야 하므로, MTS 활용은 필수입니다.
1. 키움증권 영웅문 https://www3.kiwoom.com/h/main
- 공모주 청약 신청이 직관적
- 청약 경쟁률 실시간 조회 가능
- 공모주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표 앱
2. NH투자증권 나무 https://www.mynamuh.com/
- 간단한 UI, 빠른 청약 프로세스
- 카카오뱅크 연계 계좌 개설 가능
3. 신한 SOL 증권 https://www.shinhansec.com/
- 자동 환불 계좌 연동 지원
- 공모주 전용 알림 기능 제공
✅ 알림 및 부가 기능 앱
- 콕스톡 : 문자 알림 중심, 일정 6회 무료 알림
- 스마트공모주 캘린더 : 공모주 종목별 데이터 제공
✅ 추천 활용법
- 일정 파악은 ‘공모러/피너츠’
- 실제 청약은 ‘증권사 MTS(키움, NH, 신한 등)’
- 환불일 잊지 않으려면 ‘콕스톡’ 문자 알림
공모주 청약 절차 : 공모주 절차, 공모주 일정, 증거금 계산
1. 공모주 일정 확인 : ‘2025 공모주 일정’ 사이트, 네이버 증시 IPO 메뉴 등에서 최신 일정 확인
2. 증권사 계좌 개설 : 주관사 증권사 중 최소 1개 이상 계좌 필요 (예 : 삼성·신한·KB 등)
3. 청약증거금 준비 : 증거금율 일반 50%, SPAC 등 일부 100% : 계산 예시 포함
4. 청약 신청 방식 : 균등청약 vs 비례청약
① 균등 : 최소 단위 이상이면 모두 같은 수량 배정
② 비례 : 증거금 많을수록 많은 배정
5. 청약 신청 방법 (MTS/HTS) : 신한 SOL, 나무(NH투자증권), 키움 영웅문 등 앱으로 가능
6. 환불 & 배정 : 청약 마감 후 2영업일 내 환불, 자동 이체 서비스 활용 가능
7. 유의사항 : 중복 청약 금지, 청약 수수료, 배정 방식 차이 등
공모주는 정해진 일정과 절차에 맞춰 청약해야 합니다. 초보 투자자분들이 가장 많이 실수하는 부분은 ‘언제 어떻게 청약해야 하는지’와 ‘증거금 준비’인데요. 아래 절차를 따라가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
✅ 공모주 일정 확인
- 공모주는 상장 전 정해진 일정에 따라 진행됩니다.
- 수요예측 → 청약 → 배정 → 환불 → 상장
- 일정은 38커뮤니케이션, 네이버 증시 IPO 메뉴, 증권사 홈페이지, 또는 공모주 앱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2025년에는 IT·바이오·친환경 에너지 기업들의 IPO가 다수 예정되어 있으니, 매월 초 반드시 공모주 일정을 체크해두는 습관이 중요합니다.
✅ 계좌 개설 및 주관사 확인
- 공모주 청약은 주관사 증권사 계좌가 있어야만 가능합니다.
- 예 : 삼성증권이 대표 주관사라면 삼성증권 계좌가 필요
- 공동주관사가 있다면 다른 증권사 계좌로도 청약 가능
- 최근에는 카카오뱅크, 토스증권처럼 간편 계좌 개설 서비스도 지원하기 때문에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.
✅ 청약증거금 준비하기
- 공모주 청약은 무조건 증거금을 입금해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보통 공모가 × 청약 수량 × 50%
- 일부 예외 종목(스팩 등)은 100% 필요
- 예 : 공모가 10,000원 × 100주 × 50% = 50만 원 필요
- 💡 최소청약 단위는 보통 10주이며, 따라서 최소 증거금은 공모가가 1만 원일 경우 5만 원이 됩니다.
✅ 균등청약 vs 비례청약
- 균등청약 : 최소 청약 수량만 넣으면 모든 신청자에게 같은 수량 배정
- 비례청약 : 증거금을 많이 넣은 사람에게 많은 물량 배정
- 2025년에도 ‘균등 + 비례 혼합 방식’이 대부분 적용됩니다. 따라서 소액 투자자는 최소 단위 청약으로도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.
✅ 청약 신청 방법
- MTS(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) 앱에서 ‘공모주 청약’ 메뉴 선택
- 원하는 공모주 종목 클릭 후, 청약 수량 입력 → 증거금 확인 → 신청 완료
- 청약 수수료(1,000 - 2,000원 수준)가 발생할 수 있음 (증권사마다 다름)
✅ 환불 및 주식 배정
- 청약이 끝나면 배정 결과가 발표됩니다.
- 배정받은 만큼은 결제되고, 나머지는 환불 처리됩니다.
- 환불금은 보통 청약 마감 2영업일 내 자동 환불되며, 은행 계좌나 증권사 CMA 계좌로 들어옵니다.
✅ 공모주 청약 시 주의사항
- ⚠️ 중복청약 금지 – 동일 종목에 여러 증권사 계좌로 청약 불가
- ⚠️ 증거금 부족 시 청약 자체가 무효 처리됨
- ⚠️ 일부 증권사는 오프라인 청약 불가, 앱 전용만 가능
공모주 청약증거금과 최소청약금 : 공모주 증거금, 최소청약, 증거금율
공모주 청약의 핵심은 바로 증거금입니다. 정확히 이해해야 얼마를 준비해야 하는지 헷갈리지 않습니다.
✅ 증거금율 기본 원칙
- 일반적으로 50%
- 일부 종목은 100% (스팩, 리츠 등)
- 증권사 공고에 반드시 명시되므로 사전에 확인 필요
✅ 증거금 계산 예시
- 공모가 12,000원
- 최소 청약 수량 10주 → 총액 120,000원
- 증거금율 50% → 60,000원 필요
- 만약 1,000주 청약 시 → 1,200만 원 × 50% = 600만 원 증거금 필요
✅ 최소청약금
- 보통 최소 단위는 10주
- 따라서 공모가 10,000원이라면 최소 증거금은 5만 원
- 일부 소형 IPO는 20주 이상부터 가능하기도 함
✅ 증권사별 환불 및 자동이체 서비스
- 신한증권 : 환불 자동 계좌 연동
- NH투자증권 : CMA 계좌 자동 환불
- 키움증권 : 예수금 계좌로 환불
- 청약 후 배정이 적으면 대부분 환불되므로, 실제 납입 금액은 증거금보다 훨씬 적습니다.
✅ 청약 수수료
- 온라인 청약 : 무료 - 2,000원
- 오프라인 창구 청약 : 5,000원 이상
- 최근에는 경쟁 유치를 위해 온라인 수수료 무료 이벤트가 많습니다.
⚠️ 공모주 청약 시 유의사항
공모주는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 방법처럼 보이지만,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.
✔ 무조건 수익 보장 아님
• 일부 공모주는 상장 첫날 ‘따상(시초가 2배 + 상한가)’을 기록하지만, 모든 종목이 그런 것은 아닙니다.
• 최근 몇 년간 일부 종목은 상장 직후 공모가 밑으로 떨어지는 ‘공모가 이하 마감’ 사례도 많습니다.
✔ 환불 일정 확인 필수
• 환불일을 놓치면 자금이 묶여 다른 투자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.
• 특히 여러 종목에 동시에 청약할 경우 환불일 겹침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✔ 증권사별 조건 차이
• 증권사마다 최소 청약 수량, 수수료, 환불 계좌 지정 방식이 다릅니다.
• 동일 종목이라도 주관사와 공동주관사 간 경쟁률이 크게 차이 날 수 있으므로, 계좌 여러 개를 준비하면 전략적 접근이 가능합니다.
✔ 과도한 청약 자제
• 비례배정을 노리고 무리하게 큰 증거금을 넣을 경우, 배정 물량은 적고 환불 자금은 늦게 돌아올 수 있습니다.
• ‘균등배정 최소 단위 청약 + 전략적 비례청약’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
✔ 중복청약 불가
• 2022년 제도 변경 이후 동일 종목은 여러 증권사에 중복 청약이 불가능합니다.
• 여러 증권사 계좌로 청약했다가 전부 무효 처리되는 사례가 있으니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.
✔ 청약증거금 자금 관리
• 환불 전까지는 다른 투자에 활용할 수 없으므로, 단기적으로 필요한 생활자금이나 예비자금을 넣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.
👉 요약하면, 공모주는 철저한 일정 관리·증거금 계획·증권사 조건 비교가 핵심입니다.
안정적인 수익을 원하신다면 소액 균등청약으로 꾸준히 참여하면서, 경쟁률과 시장 상황을 참고해 점진적으로 경험을 쌓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